영국 의학연구위원회
(충청의약뉴스) 제왕절개로 분만한 아이는 5세가 되기 전에 비만아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.
영국 의학연구위원회(MRC: Medical Research Council) 생식 건강센터의 새러 스톡 박사 연구팀이 출산 여성과 아이 총 3900만명이 대상이 된 연구 논문 80편을 종합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일간 텔레그래프 인터넷판과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3일 보도했다.
연구팀은 이 연구 논문들에 나타난 제왕절개 분만의 '득과 실'을 종합 평가했다.
우선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는 5세가 되기 전 비만아가 될 가능성이 만기출산아에 비해 59%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또 제왕절개 출산 아이는 12세 전 천식 발생률이 만기출산아에 비해 21% 높았다.
이밖에 제왕절개로 분만한 여성은 만기 출산한 여성에 비해 나중 임신에서 유산을 겪을 가능성이 27%, 사산할 위험이 17% 높았다.
이들은 또 차후 임신에서 태반이 비정상 위치에 자리 잡는 전치태반 위험이 74% 높았다.
출산 후 떨어져야 할 태반이 유착돼 잘 떨어지지 않는 유착태반 위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반면 제왕절개 분만 여성은 요실금이 나타날 가능성이 정상분만 여성에 비해 56% 낮았다.
또 골반장기 탈출증(pelvic prolapse) 발생률도 29% 낮았다.
골반장기 탈출증은 자궁과 질을 받쳐주는 골반 내 근육과 인대 등 지지구조가 출산 등으로 약화되거나 늘어나 이들 본래의 위치에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이다.
이 분석결과는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스톡 박사는 말했다.
이에 대해 킹스 칼리지 런던(KCL)의 레이철 트라이브 여성보건학 교수도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의 '득과 실'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.
영국 왕립산부인과학회는 30년 전 10명 중 1명에 불과하던 제왕절개 분만율이 지금은 4명 중 1명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밝히고 있다.
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'공공과학도서관'(PLoS One)에 실렸다.
충청의약뉴스 news@ccmpnews.com
'충청의약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혈병 이제 '불치병' 아니다 (0) | 2018.02.01 |
---|---|
청주지역 종합병원 간호사가 초음파 검사…4800만원 과징금 (0) | 2018.02.01 |
충북대 한라봉, 니카라과 한국대사관에 의약품 기부 (0) | 2018.01.31 |
충북도 미세먼지 저감대책 추진 (0) | 2018.01.31 |
심뇌혈관 질환 예방사업 홍보 (0) | 2018.01.31 |